스마트폰 게임 후 눈이침침하고흐릿할때 어떤 것이 원인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많은 분들이 사용하게 되면서 여러가지 건강의 부작용을 낳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거북목이라고 불리는 증상인데요, 잘못된 자세로 화면을 보다보니 목뼈의 구조가 일자로 변하면서 어깨나 목에 통증이 발생하거나 심각한 경우에는 불면증 등의 증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런 증상과 함께 많이 나타나는 것이 바로 눈이 침침해지고 흐릿해지는 증상이 아닐까 합니다.
▶ 스마트폰으로 인한 가성 근시.
요즘 많은 분들이 웹툰이나 웹소설 등을 휴대폰으로 보는 경우가 많아지고, PC모니터 보다 휴대폰 액정으로 드라마나 영화 등을 시청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렇게 장시간 짧은 거리의 작은 액정을 보게 되면 모양체 근육의 조절력이 강해져서 일시적으로 근시가 될 수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근시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력이 저하된 것 같고 눈이 침침하고 흐릿하게 보이게 될 수 있습니다. 일정시간이 지나거나 눈의 스트레칭을 통해서 쉽게 와화될 수 있지만 반복적인 가성근시가 발생하게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니 잘못된 습관은 바로잡는 것이 좋습니다.
※ 가성근시일 때 적절한 검사를 받지않고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근시로 굳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 증사이 발생하게 되었다면 안과를 방문해서 나의 눈의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충분한 눈의 휴식으로 가성근시를 예방.
가성근시는 오랜시간 PC모니터나 휴대폰의 액정을 보지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40분 정도의 작업 후에는 반드시 10분~20분 정도의 눈이 쉴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휴식시간에는 모니터나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거리의 물체를 바라보면서 눈을 풀어주는 것이 좋으며 안구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 스마트폰의 사용시에는 사용시간이 짧은 것이 좋습니다.
작은 화면을 집중해서 보게되면 눈 깜빡거림이 줄어들게 되는데요, 이러한 상황이 오래 지속되게 되면 가성근시 뿐만 아니라 안구건조증의 위험도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유산소운동은 30분 이상해야할까? (0) | 2017.02.10 |
---|---|
나의 생활이 평소와 달라지고 부정적인 감정이 오래 지속되는 원인은? (0) | 2017.02.08 |
고양이 외로움 - 고양이는 혼자 두어도 괜찮다는 것은 잘못된 상식 (0) | 2017.01.29 |
감기에 소주와 고춧가루는 효과가 정말 있을까? (0) | 2017.01.25 |
개인사업자 실업급여 받는 방법 - 자영엽자 고용보험제도 (0) | 2017.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