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불면증상의 대표적인 원인 몇가지
직장인의 경우 불면의 증상을 가진 분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직장인의 생활패턴이 불면에 걸리기 좋은 환경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오늘은 이런 환경에서도 잠을 잘 잘수 있는 요령과 잘못된 생활패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 늦은 시간에 하는 운동
체력을 키우고 몸을 건강하기 위해서 하는 운동이 수면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격한 운동을 하게 되면 신체가 흥분되기 때문에 잠이 드는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운동을 하더라도 잠자는 시간 2시간 전에 마무리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잠들기 2시간 전에 마무리 해야 신체의 흥분도와 체온이 낮아져서 잠들기 좋은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밤늦게 하는 업무
집에서 업무를 하다가 잠자리에 드는 경우에도 잠을 제대로 못자게 될 수 있습니다. 뇌를 활성화된 상태이며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은 상태이기 때문에 잠이 드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되도록이면 집에서 업무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업무나 출근 때문에 잠이 잘 안온다면 내일 아침에 준비할 옷이나 준비물 가방 등을 미리 챙겨두는 것이 좋은데요, 이런 작은 일이 아침에 대한 부담을 줄여서 잠이 드는데 조금의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자다가 깨면 그대로 누워있는 것이 좋습니다.
잠들었다가 여러가지 이유로 깨게 되면 그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작동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런 것은 정말 좋지않은 습관입니다. 스마트폰의 밝은 액정이 잠을 더 깨우게 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럴 때에는 그냥 다시 누어서 눈을 감고 편안하게 있으면 서서히 다시 잠이들게 됩니다.
■ 잠들기 전 혼술은 하지말기를
집에서 혼자서 잠들기 전에 맥주한잔이나 소주 한병 등을 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런 생활은 알코올의존증이 생기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잠들기 전에 마시는 술은 잠이 드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술이 깨면서 잠도 깨기 때문에 수면시간을 줄이거나 수면의 질을 크게 떨어지게 만들게 됩니다.
또 사람에 따라서는 코를 심하게 골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코를 심하게 골게되면 수면의 질이 더 떨어져서 더욱 더 피곤하게 될 수 있습니다.
'직장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을 타는 사람은 왜 그럴까? - 봄만 되면 우울하고 피곤한 이유 (0) | 2018.03.10 |
---|---|
긍정적인 말 한마디가 주는 효과 - 상대방에게 힘이 되는 말하기 (0) | 2018.03.08 |
20대 30대 사회초년생 첫 보험은 실손 의료실비보장부터 (0) | 2018.03.03 |
아르바이트 알바생 퇴직금 기준 쉽게 설명해봤습니다 (0) | 2018.02.28 |
직장에 너무 몰입하지 않는 것이 직장생활을 잘하는 요령 (0) | 2018.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