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 더 많이 자는데도 아침에 더 피곤한 이유는?
겨울이 되면 다른 계절보다 잠을 더 많이 자게 된다고 합니다.
규칙적인 생활을 하게 되는 분들도 겨울에는 잠을 더 오래 자게 되기도 하고 아침에 일어나는 것을 더 힘들어하게 된다고 하죠.
이런 이유 때문인지 이불밖은 위험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하고 쉬는 날 아침에 일어나지 않고 침대를 벗어나지 않는 분들도 적지 않다고 하네요.
■ 다른 계절보다 겨울 아침이 더 피곤한 이유
이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숙면을 취하기 힘든 것이 겨울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평소보다 더 오래 잠을 자려고 하게 되고 낮에도 졸려서 힘들어하게 될 수 있다고 합니다.잠을 잘 못자게 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것은 수면에 적합하기가 힘든 환경이기 때문입니다. 겨울의 건조한 공기와 차가운 온도는 잠을 자는 사람을 깊게 잠들지 못하게 하고 중간에 깨는 일을 만드는 요인들이 많아지기 때문이죠.
자다가 이불밖으로 벗어난 팔이나 다리 때문에 일어나기도 하고 추위로 인해서 잠에서 깨게 되기도 합니다. 또 건조한 공기 때문에 코가 막혀서 깨거나 수면을 깊게 취하지 못하게 되는 일도 발생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수면 중 깨게 되거나 혹은 수면을 깊게 취하지 못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계절보다 겨울 아침에 더 피곤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늦게 자는 것도 더 피곤한 이유 중 하나죠.
■ 아침에는 일어나기 싫은데 이상하게 밤에 잠이 안오는 이유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늦게 일어나는 이유 중 하나가 늦게 잠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겨울에는 잠이 드는 것도 다른 계절보다 어렵기 때문이죠. 겨울에는 외부 활동을 하는 시간이나 활동량이 부족하고 실내에서도 많은 움직임을 가지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신체적으로 피곤함이 덜해지기 때문에 밤에 잠을 자는데 방해가 되기도 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겨울 밤에 먹게 되는 간식이나 음주 등도 잠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 겨울 아침에 일어날 때 잠에서 빨리 깨는 방법은?
아침에 잠에서 깨면 누워있는 상태로 몸을 움직이면서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불 안에서 가볍게 몸을 움직이고 풀어주는 과정을 3~5분 정도 하는 것이 좋은데요, 특히 실내에 난방을 하지 않고 장판으로 겨울을 보내는 분들은 이렇게 꼭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의 몸은 추위에 노출이 되게 되면 움츠리게 되는데 겨울에는 잠을 자는 동안 추위로 몸이 긴장된 상태가 오래 지속이 되는만큼 급하게 몸을 움직이게 되면 근육에 무리가 오게 될 수 있습니다. 겨울 아침에 급하게 몸을 움직이다가 담이 오거나 근육통이 오는 분들이 종종 있는 이유가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미지근한 물을 마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겨울 뿐만 아니라 다른 계절에도 동일한 방법입니다. 사람은 잠을 자는 동안에도 소변을 배출을 하고 아침에 볼일을 보면서 또 배출을 하게 되면 신체 수분부족이 발생할 수 있기도 하고 아침에 물을 마시는 것은 내장 기관을 깨게 하는 목적도 있습니다.
커튼을 열어서 햇빛을 보는 것도 중요하죠.
아침에 일어났을 때 햇빛을 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햇빛을 쬐게 되면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는 줄고 세로토닌 호르몬이 늘어나게 되면서 기분도 괜찮아지고 잠에서도 깨기 때문이죠. 추운날 창문까지 열면 몸이 더 긴장될 수 있기 때문에 커튼만 열어서 햇빛을 받으면서 아침을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