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이 가사활동을 하지않으면 불화가 생길 가능성은 높아진다
배우자가 가사활동을 하지않으면 불화가 생길 가능성은 높아진다
주말에 누워서 일어나지도 않고 발가락도 꼼지락하기 싫어하는 배우자을 경험하면 잠자는 저녁에는 "숨쉬는 것도 꼴보기 싫어진다."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고 합니다.
맞벌이 부부 중 가사일이나 육아를 독박하는 경우가 많은 경우에는 불화가 생길 가능성은 높아지고 심지어 우울감과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또 이러한 감정을 느끼는 경우에는 대부분 큰 다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조금 있다가 할께, 꼭 내가 해야하냐?"
라는 말들으 들을 때면 정말 분노가 이만큼 솟아오른다고 하는데요,
한쪽의 경우 전날부터 해달라는 말을 반복했지만 들어주지 않아 화를 내지만 듣는 쪽은 마지막의 부탁만 기억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 것가지고 화를 낸다면서 또 싸움이 시작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적지않은 부부들의 경우 "기싸움"이라고 생각하면서 해야할 일을 나눈 것을 하지않으려고 하거나 엉망으로 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어 싸움은 더욱 커지게 된다고 합니다.
맞벌이라면 집안일도 1:1로 나눠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 늦게 퇴근하거나 요리를 전담하는 경우에는 그 외의 일꺼리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서로에 대한 예의와 배려는 서로의 관계를 더욱 좋게 만들고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만들기도 합니다.
이러한 서로에 대한 행동과 책임을 보다 나은 집안생활로 이어지고 더욱 좋은 부부관계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반대로 일을 미루거나 한사람만 지속적인 집안일을 전담하거나 육아를 전담하는 경우에는 한쪽의 우울증이나 심각한 불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 실제 모 연구에서 배우자가 집안일을 안하고 버티거나 무시하는 경우 배우자에 대한 좌절감을 느끼고 불륜에 대한 충동, 현재 결혼에 대한 후회를 느낀다고 조사되었다고 합니다.